구름

* 자연이 좋다, 숲이 좋다, 그런 이야기에 반대하는 건 아니다. 숲도 좋고, 나무도, 풀도, 꽃도 좋다. 그런데, 우리가 숲을 좋아하는 이유가 숲과 나무가 측정할 수 없는 신비를 보여주기 때문이라는 사실에는 반대한다. 내가 겪은 숲, 내가 숲을 좋아하는 이유는 우발성이 그곳을 지배하기 때문이며, 우리는 그 숲에서 우발성에 대해 관대해지기 때문이다.

 

 내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우발적이고, 가시적인 현상은 구름이다. 모였다가 흩어지는 동안 구름은 그야말로 원형을 가지지 않는 '현상' 그 자체다. 나는 '나'라는 우발적인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기를 원한다. 대부분의 '나'는 일종의 기시감이 만들어낸 환상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그것도 발견이지만 구름이야말로 그 발견의 바깥을 보여준다.....'나'라는 관성은 원형을 가졌다는 환상이 없다면 그져 일종의 접촉점에 지나지 않는다. 구름은 흩어지는 동안에도, 다시 모여 구성되는 동안에도 구름으로 호명된다. 감각적 실존의 차원은 우발성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의 문제이기도 하다는 거다.

 

 .....그건 그거구. 나는 알고 보면 감정이 잘 일어나지 않는 타입이다. 냉정한 건 아닌데, 감정의 계기들을 그냥 내버려두는. 사실 감정이라는 건 일정한 계기 그 자체가 불러오는 게 아니라, 그 계기들이 어떤 저항을 통과하느냐가 중요한 것 같다. 나한테는 그 저항이 없다. '나'라는 기시감 같은 게 잘 없는 거다. 그런데, '나'의 구성은 다른 이들이 만들어내는 것이므로....즉 그 기시감의 정체는 타인들이 만들어내는 경우가 많으므로....근데, 이 기사감을 깨뜨리는 존재가 나타나면 '나'는 비로소 저항을 통과하는 것이다.  

 

* 이택광 아저씨로부터 촉발된(?) 라캉주의 논쟁(?)을 보고 있자니 이건 뭐...지나치게 한심하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논쟁 주위로 모여드는 수많은 이상한 사람들의 논란보다 중요한 건 이택광 아저씨가 블로그에 언젠가 밝힌 바 있는 '글쓰기의 쾌락'(?)의 문제가 더 중요하지, 싶다. 비평의 욕망, 좌표, 지향.....더 이상 계몽주의가 작동하지 않는 대중적 글쓰기의 장에서 어떤 글쓰기를 지향해야 할지, 그가 나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건 그렇고 에라이...

댓글

  1. 연말에 술 한잔 하렵니까?

    http://magazine1n.tistory.com/

    수술후 건강은 어떤지, 다시 하는 직장 생활은 어떤지, 그 사이 모종의 글쓰기를 도모한 듯 한데 무슨 글을 얼마나 쓰다가 어떻게 관둔건지 할 얘기들이 많겠네요.



    저는 슬럼프가 너무 길어요. 지금은 정신과 치료를 받는게 두루두루 좋지 않을까 할 정도입니다.

    답글삭제
  2. @놀이네트 - 2010/12/16 18:11
    음..일단 저는 앞으로 최소 2년간..술을 못먹습니다..ㅠㅠ

    많이 힘드신가봐요...저는 글쓰기를 시도했다, 그만둔 건 아니고 쭉 그만둔 상태였음. ㅎㅎ



    제가 담주에 시간 내서 연락한번 드릴께요.

    답글삭제
  3. 원래 울증하고 조증하고 왔다갔다 하는데 요번에는 좀 길다 싶어요. 병증이라는게 여기저기 말하고 다니면 좋아질 수도 있다고 하던데요. 혼자 작업실에 쳐박혀서 세상고민 다하는 것처럼 지랄떠는 것보다는 헤벌레하고 다니는 것이 좀 나은 것 같아요. 여하간 맛있는 거라고 먹읍시다. ^^

    답글삭제
  4. @놀이네트 - 2010/12/17 15:42
    ㅎㅎ 넵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정치는 뒤늦게 도착하기도 한다

거짓말이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