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1, 2010의 게시물 표시

호모루덴스는 멸종하지 않아! 않는다규!!

* 언니라는 말은 참 좋다. 아큐라 언니가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5월호에 올린 글이다. 지난번에 만났을 때 쫌 놀려 먹었는데 ㅋ 암튼 글쟁이 데뷔작인 셈인가. ㅎㅎ     호모루덴스는 멸종하지 않아 -놀이네트(놀이운동가) 네덜란드의 역사학자 하위징아에 따르면 인간의 본질은 ‘ 놀이 ’ 고 , 놀이라는 바탕 위에 인간의 문명이 세워졌다 . 1938 년 출판된 < 호모루덴스 > 에 이러한 통찰이 담겨 있다 . 그러나 통념상 놀이는 문화의 하위 영역이다 . 개인의 삶에서 노동 또는 학업과 휴식 사이에 겨우 존재하며 , 재미는 있지만 별다른 목적과 가치가 없는 활동이 바로 놀이다 . 통념은 힘이 세며 일정한 진실을 반영한다 . 우리는 재미없이 살고 있으며 우리 삶은 , 놀이가 그러하듯 , 어떤 목적을 위하지 아니한다 . 놀이는 매우 자명하며 눈에 보이는 그대로의 활동이지만 , 아직은 인간의 언어로 정체를 밝혀내지 못한 복잡한 과정과 원리를 가진 실체다 . 놀이는 에브리싱 (Everything) 인 동시에 낫싱 (Nothing) 인 그 무엇이며 , 일상 속 복잡계이다 . 놀이라면 당연히 전래놀이라는 선명한 전제에서 논의를 시작하면 선명하지 않은 현실과 부합하기 어렵다 . 극단의 여러 관점을 동시에 긍정해야 한다 .         과연 대한민국의 아이들은 놀지 않는가 ? 답은 만만치 않다 . 놀이란 우리 눈에 보이는 것 이상이기 때문이다 . 우선 놀이는 자유일 수 있다 . 놀이의 반대는 ‘ 억압 ’ 이 된다 . 우리 아이들은 오직 공부할 자유만 있어 내전 중인 나라나 극히 빈곤한 나라의 아이들만큼 심각한 ‘ 놀이실조 ’ 상태다 . 놀이를 성인기의 준비로 보는 관점도 있다 . ‘ 어려서 놀며 기른 힘 ’ 으로 ‘ 세상의 벽과 사회에서 받을 상처 ’ 를 넘거나 치유하게 된다 . 그렇다면 산과 들 , 골목에서 뛰노는 것도 놀이요 , 공부나 독서도 놀이가 된다 . 옛날이나 오늘날이나 아이들